모임 위치 기반 지역 점유게임

프로젝트

위치 기반 지역 점유게임

  • 전인표

    전인표

    (휴대폰 인증) 약간 오래전 로그인
  • 모집 중진행 중

    모집 현황

    • IOS

      0/1
    * 지원 시, 아래는 필수 입력값입니다 ✍️ (총5개) 이메일, 지원직군, 지원사유, 투자가능시간 (1주당), 경험/경력설명

    출시 플랫폼

    IOS 앱

    AI의 사업성 분석

    AI에 의해 분석된 사업평가로, 렛플의 의견이 아닙니다.
    제공해 주신 프로젝트 소개에 기반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해 드리겠습니다.
    1) 단기/중기/장기 관점에서 주요 소비자의 특성이나 규모 그리고 니즈분석
    - 단기 관점: 초기 고객은 주로 기술과 신제품에 민감하고, 모험적인 시도를 즐기는 20-30대 젊은 층으로 한정될 것입니다. 이들은 새로운 위치 기반 게임에 대한 호기심과 경쟁심을 가지고 있으며, 소셜 미디어에서의 인증욕구도 높을 수 있습니다.
    - 중기 관점: 중기적으로는 게임문화가 자리 잡으면 특성에 기반한 틈새 시장과 함께 일상의 소소한 즐거움이나 커뮤니티 형성 욕구를 가진 소비자로 확장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사용자 경험이 개선되면서 다양한 연령대와 행동양식을 가진 사람들의 접근성이 향상될 것입니다.
    - 장기 관점: 장기적으로 위치 기반 게임 시장의 유명세와 함께 다양한 연령층과 계층의 소비자들이 유입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 때, 새로운 기능이나 트렌드에 빠르게 대응하면서 지속해서 참신한 경험을 제공할 필요가 있으며, 글로벌 시장으로 접근하는 개발 전략도 필요합니다.
    2) 현재 시장성과 향후 3년간 시장 추세와 그 이유, 그리고 예상 경쟁업체와 서비스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 현재 시장성: 현재 증강현실과 위치 기반 서비스의 조합은 여전히 성장가능한 시장으로 평가됩니다. 특히, 게임과 소셜 네트워킹의 결합은 MZ세대 소비자들 사이에서 높은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 향후 3년간 시장 추세: 3년 내 시장은 기술의 발전, 5G 네트워크 확산, 스마트폰 사용자 증가 등의 영향으로 계속해서 성장할 것으로 보입니다. 위치 기반 게임은 더 많은 소셜 기능과 결합하여 유저들의 참여를 유도하고, 개인화된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시장을 확대해 나갈 것으로 기대됩니다.
    - 예상 경쟁업체와 서비스: 이 분야에서는 "Pokémon GO", "Ingress" 같은 성공적인 위치 기반 게임이 이미 시장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또한 사용자 간의 인터렉션과 지역 커뮤니티 중심의 서비스가 경쟁 업체로 등장할 수 있습니다.
    3) 시장에서 경쟁력을 가지기위한 차별화 기능이나 전략
    - 소셜 연동 기능 강화: 사용자들의 소셜미디어 계정과 연동하여 친구들과의 경쟁 및 공유를 쉽게 할 수 있는 기능을 도입함으로써 더 많은 참여를 유도할 수 있습니다.
    - 지역 커뮤니티와의 협력: 지역의 특색 있는 콘텐츠를 개발하거나 지역 내 이벤트를 주최하여 사용자들의 참여를 확대할 수 있는 전략을 고려합니다.
    - 사용자 맞춤형 경험 제공: 게임 내에서 사용자의 활동 데이터를 분석하여 개인에 맞는 맞춤형 도전과제나 리워드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지속적인 참여를 유도합니다.
    4) 출시플랫폼의 우선순위와 이유
    - 모바일 앱 (iOS): 제품의 목표 사용자층인 20-30대 젊은 층이 주로 사용하고 있는 iOS 플랫폼을 우선시하는 것이 적합합니다. iOS 사용자들은 일반적으로 새로운 앱에 대해 높은 지출을 하는 경향이 있어 상업적 성공 가능성이 높습니다.
    5) 초기 시장 진입 전략
    - Influencer 마케팅: SNS 인플루언서를 활용하여 타겟층에게 게임을 소개하고 적극적인 사용을 유도합니다.
    - 베타 테스터 커뮤니티 구축: 초기 사용자들에게 게임에 참여할 수 있는 독점적 기회를 제공하고 피드백을 수집하여 서비스를 개선합니다.
    - 위치 기반 이벤트 진행: 특정 지역에서 이벤트를 개최하여 현장에서 앱을 다운로드하고 사용하게 함으로써 초기 사용자 기반을 확보합니다.
    6) 시장을 확대하기 위한 전략
    - 파트너십 및 협력: 현지 상점이나 브랜드와 협력하여 특별 프로모션을 진행하거나 공동 마케팅을 수행합니다.
    - 사용자 재유치 메커니즘 개발: 게임 내에 한정판 아이템이나 정기적인 업데이트를 통해 사용자들이 꾸준히 복귀하도록 유도합니다.
    - 글로벌 확장: 초기 성공 이후 다국어 지원과 글로벌 마케팅 전략을 통하여 해외 시장에 진출합니다.

    소개

    프로젝트 소개

    안녕하세요! 사이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싶어 iOS 개발자 한 분을 모십니다. 현재 백엔드 개발자가 있으며, 소수의 인원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프로젝트 개요

    사용자가 이동한 위치에서 사진을 올려 해당 지역을 차지할 수 있는 위치 기반 게임을 만들고자 합니다. 이 앱은 사용자들이 자신의 흔적을 남기고, 해당 지역을 "소유"하는 것과 비슷한 게임적인 요소를 담고 있으며, 사진을 통해 소유권을 시각적으로 기록할 수 있습니다. 재미와 경쟁을 동시에 느낄 수 있는 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목표 사용자

    20-30대의 젊은 층을 주 타겟으로 하고 있으며, 활동적이고 사진 찍는 것을 좋아하는 사용자들이 주요 대상입니다. 특히 위치 기반 서비스를 자주 이용하거나 경쟁 요소가 있는 앱을 선호하는 분들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회의 진행 방식

    주 1-2회 온라인 회의를 통해 프로젝트의 진행 상황을 점검하고, 필요한 경우 오프라인 모임도 병행할 예정입니다.

    프로젝트 리더 경험 및 역할

    리더로서 백엔드 개발을 담당하며, 팀 전체가 원활하게 협력할 수 있도록 프로젝트 관리 및 일정 조율을 담당합니다. 이전에는 여러 팀 프로젝트와 개발 경험을 쌓아왔습니다.

    이런분이면 좋겠어요

    1. 최소 1개 이상의 프로젝트 경험이 있는 분

    2. 책임감 있고 꾸준히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있는 분

    3. 서버와의 협업 경험이 있거나 배우고 싶으신 분

    4. 사이드 프로젝트를 통해 얻고자 하는 목표가 뚜렷한 분

    한줄 소식

    • 아직 새로운 소식이 없습니다

    멤버

    이 프로젝트는 지원을 기다리는 중😁

    프로젝트 지원하기

    리더 정보

    전인표

    전인표

    휴대폰 인증완료리더 응답률 : 내역이 없습니다

    프로젝트 기간

    24.11.05 ~25.05.05  (182일)

    프로젝트 분야

    게임

    팔로우중인 렛플인 0